

32
를 준다.
철학자
주장
기독교적 해석
자크 데리다
텍스트 바깥에는
아무것도 없다
‘오직 성경’의 급진적인 해석
1)우리의 전체적인 세계 이해를 전
달할 때의 성경 중심성
2)성경을 해석할 때 공동체의 역할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거대서사에 대한 불신
1)기독교 신앙을 사상 모음집이 아
니라 이야기로 이해하는 것
2)이야기의 고백적 본성, 그리고 이
야기들이 서로 경쟁하는 세상에
서 우리 자신을 발견하는 법
미셸 푸코
권력은 지식
제자 됨
1)양육과 형성이 지닌 문화적인 힘
2)교회는 대안적 훈육으로 대안적
형성을 해야 함. 즉 지도가 필요한
피조세계의 구조로 훈육 이해
표 4 탈 근대사상가들의 주장과 기독교적 해석
따라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회와 기독교는 좀 더 선명한 본질에의 추구를 요구받고
있으며, 그 기회를 잘 선용하는 것이 앞으로 교회와 성도들에게 사도행전적 생태계를
만들어 내어 그렇게 살아가도록 격려할 것이다.
따라서 가나안 성도를 위한 네트워크 교회는 이런 소외된 틈, 가나안 성도들의 삶
의 현장으로 들어가는 ‘찾아가는 교회’ 즉 ‘성육신화 된 교회’를 지향한다. 포스트모던
에 대해 ‘찾아가는 것’과 ‘참여하는 것’에 대한 구별 없이 착각하여 찾아가는 것을 참
여하는 것으로 오해하여 접근 자체를 터부 시 하거나, 그 반대로 혼합되어버리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제 2 절 크리스텐덤 교회와 비 크리스텐덤 교회
1. 크리스텐덤 교회의 역사, 원인과 내포된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