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7
들 것이다. 초창기에는 자립을 위해 장소와 재정을 후원을 받아 시작하며, 목회자 자
신도 자비량 사역을 하여 교회 자체의 운영비를 최대한 경감 시킨다. 따라서 모임의
규모가 작더라도 빠른 시일 안에 자립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커질 뿐만 아니라 교
회가 감당해야 할 원초적이고 다양한 사역에 재정을 집행할 수 있게 된다.
자. 성육신적 실천의 교회
목회자부터 종교 성직자라는 생각을 벗어버리고, 일상 속에서의 성직을 나타내고,
성도들의 삶에 동참하고 공감하기 위해 가급적 자비량 사역을 권장하고, 교회의 위치
도 사역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지역 내에 자리 잡도록 노력한다. 이는 교회
의 성육신적 실천의 시작이 성도와 목회자가 전혀 관련이 없는 부분이 아니라 친근하
게 다가가고 초대할 수 있는 부분부터 열어가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목회
자와 가나안 네트워크 교회가 성육신적으로 찾아갔다면, 그 안에서의 성도들은 다시
세상 속으로 파송 받아 자신들의 삶의 현장에서 성육신적인 사역을 감당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구호적인 성육신 실천이 아닌 철저하게 연구, 준비되고 실천하
는 모델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앞에서와 같이 목회자가 자비량 사역을 한다면, 성도들
과 함께 이와 같은 모델을 만들고 적용하는데 용이할 것이다.
제 3 절 새로운 대안의 교회인가? (초대교회 모델)
크리스텐덤을 탈피하는 방향성을 논의할 때 가나안 성도를 위한 네트워크 교회는
새로운 형태의 교회 출현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Michael Frost와 Alan Hirsch는 자
신들의 책에서 다음과 같이 사도 시대와 사도 이후 시대, 크리스텐덤 방식의 시대, 새
로 등장한 선교적 방식의 세 가지 유형의 교회를 비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