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
국 사회에 ‘저 출산 저 사망’ 세대가 도래하고 있고, 제한된 일자리와 연금 등으로 인
한 세대 간 갈등, 은퇴 이후의 삶의 질 문제, 차세대가 줄어들어 이로 인해 교회의 역
동성과 사역의 질이 떨어지고, 교회의 이탈을 가속 시키는 문제 등을 지적하고 있
다.
30)
4. 다원주의, 포스트모던 환경의 심화
다원주의 포스트모던 문화의 심화에 대한 교회의 대안은 없거나 담을 높이 쌓고,
또는 적대적으로 대하고 있다. 이미 한국 사회는 다원주의, 포스트모던의 시대에 들어
도 한참 전에 들어섰지만 교회는 그것을 의식적으로 거부하고 인정하지 않고 있다. 바
뀐 환경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그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현실 자체에 관심을 가
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 현실 속에 살아가야 하는 성도들의 삶에 대해 깊은 이해와
대안을 제시할 수가 없게 된다. 그렇게 되면 성도들은 교회의 삶과 세상 속에서의 삶
을 이중적으로 살 수 밖에 없게 되고, 괴리감과 차이 때문에 죄책감을 가지고 살아가
거나 신앙과 현실의 삶은 별개라고 생각하고 생활하게 된다. 여기에서 우리가 집고 넘
어가야 할 부분은 이런 환경 인정과 대안 제시가 부정적 의미로서 교회의 세속화
(secularization)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30) 최윤식,
2020-2040 한국교회 미래지도,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3), 13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