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40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40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27

그림2. 청소년(15~19세) 종교 인구수 변동 추이(주택인구 총 조사)

3. 인구 고령화와 차세대 인구의 감소

우리나라의 출산율 감소와 다수를 차지하는 장년층의 고령화는 교회를 급격히 고

령화 집단으로 변모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목회사회학 연구소의 정재영 교수는 2030

년에는 학령인구가 616만3천명, 2050년에는 460만2천명으로 학령인구가 가장 많았던

1980년의 1440만1천명에 비해 1/3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8)

학술

논문집『복음과 선교』에서 김선일 교수는 “현재 한국 교회 차세대 교육에서 청소년

문화코드에 맞춘 전도와 교육이 고유한 기독교 신앙과 전통들이 퇴색되고 오히려 나중

에 더 큰 세계와 조우하며 더 많은 소비제품과 욕망을 접할 때 기독교 신앙을 쉽게

떠날 수 있을 것”이란 점을 지적하고 있다.

29)

이는 청년층이 되면서 차세대가 교회에

서 많이 이탈하는 현재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이다. 목회자이면서 미래학자인 최윤식

박사는 2050년 이후 전국 대부분의 교회는 주일학교 아이들의 분포가 5~10%미만, 장

년의 60~70%는 55세 이상의 은퇴자와 노인들이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게다가 한

28) 정재영,

한국교회, 10년의 미래,

(서울: SFC출판부, 2012), 35.

29) 김선일, “오래된 미래적 관점에서 보는 차세대 복음화”, 복음과 선교 제20호 (2012. No.4):

1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