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
가장 쉽고 빠르게 타락할 수 있는 토양이 되었고 그것을 눈치 챈 사람들에게 그들의
교회 외에는 구원도 대안도 없다고 겁박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는
그들의 크리스텐덤의 시스템에서 벗어나야 발견할 수 있다. Michael Frost와 Alan
Hirsch는 다음과 같이 현재에서의 크리스텐덤의 영향을 말하고 있다.
이해의 패러다임으로서 혹은 메타내러티브로서 크리스텐덤은 여전히 교회 안에
서 현존하는 신학적, 선교학적, 교회론적 이해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
다. 여전히 우리는 교회와 그 사명을 ‘크리스텐덤’차원에서 생각한다. 실제로는
‘크리스텐덤 이후’라는 상황에 있으면서도 서구 교회는 여전히 그 주된 부분에
있어서는 크리스텐덤 방식으로 움직이고 있다. 우리는 상상 속에서 콘스탄티누
스 대제가 여전히 황제인 것이다.
37)
여전히 영향력을 크게 행사하는 크리스텐덤 체제를 우리가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을 가져야만 가능할 것이다.
2. 비 크리스텐덤의 방향성
비 크리스텐덤이라고 할 때 제도 자체에 대한 거부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크리스텐덤 체제를 만드는 제도를 제거하고 본질적 교회의 모습을
가지도록 하는 방향에서 내용과 제도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가. 여정으로서의 신앙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공동체
종교의 사사화, 다원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 현상과 개인의 삶을, 진리를 찾아
가는 여정 중의 한 관문으로 이해하고, 그들이 진실로 만나야 하는 것이 바로 복음이
며, 복음의 삶은 하나님의 공동체 안에서 충만해지고 여문다는 것을 체험하게 하는 교
회를 지향한다.
나. 모으는 시스템에서 적정 소규모 이상은 분가 시키는 시스템
교회가 대형화 되면서 벌어지는 문제점은 한 영혼에 대한 관심과 목양이 줄어들고,
권력 구조가 만들어 진다는 데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약 100명 정도 이상의
37) Michael Frost and Alan Hirsch,
새로운 교회가 온다,
지성근 역, (서울: 한국기독교학생회
출판부, 20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