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30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30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17

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권장되고 방법론을 교계에서 나누게 된다. “마케팅이 교회에 도

입되는 순간 가치중립적이던 숫자는 모든 가치의 핵심을 차지”하게 된다.

21)

이런 경향

이 강화되면, 복음의 능력 자체로 자연스럽게 전도되고 알려지는 것은 약화될 것이다.

초대 교회의 홍보는 복음을 만남으로 변화된 사람들의 참을 수 없는 증거로 인해 되

었다. 그런 살아있는 복음의 내용이 빠진 홍보는 결국 교회에서 살아있는 복음의 능력

이 약화되고 사라지고 있음을 반증할 뿐이다. 대부분의 교회에서 사용하는 마케팅과

홍보 기법은 일반사회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거나 하부 그룹에서나 사용하는 것을

차용할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일반인들은 교회의 마케팅이나 홍보에 감흥을 느끼

지 못하고 오히려 반감을 가지는 경우가 생겨난다. 그 중 가장 위험한 것은 담임목사

를 과도하게 홍보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담임목사 홍보가 역효과를 가져오

고 있다는 것을 교회 내부에서는 인식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런 마케팅과 홍보가 교회

자신들만의 리그를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다.

파. 공격적 전도와 선교

예수님의 대 위임령에 따라 전도와 선교는 교회의 가장 큰 사명으로 여겨진다. 그

러나 크리스텐덤 교회에서는 그것을 숫자적인 개념으로 해석해 전도와 선교지의 숫자

에 많은 중점을 둔다. 그래서 같은 지역 안에서 서로 연합하지 못하고 경쟁하는 구도

를 만들어 내어 전도와 선교에서 무리수를 두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선교에서

이슬람권이나 식민지배를 받았던 곳에서는 이런 공격적인 선교 방식이 그들의 깊은 상

처를 자극하여 선교의 문을 닫고, 성육신적인 선교 방식으로 접근하던 선교사들까지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

하. 왜곡된 예배와 기도회

한국 교회 예배의 독특한 특징으로 설교와 찬양에 대한 의존이 매우 높다는 것이

다. 예전으로서는 그 두 가지 요소 외에는 거의 간소화 되는 경우가 많고, 찬양의 순

서 외에는 성도들이 예배에 참여할 수 있는 요소나 성례는 많이 사라져 가고 있다. 그

것보다 더 심각한 것은 일주일에 한 번의 예배만 참석하는 많은 성도들에게 단 한 번

의 예배만으로 한 주간을 버틸 은혜를 주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일 것이다. 그래서 예배

21) 옥성호,

마케팅에 물든 부족한 기독교

,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7),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