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26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26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13

교회 중심적으로 모으는 교회가 되다 보니 교회와 세상을 분리한 이원론적인 신앙

을 가르치기 쉽다. 주로 신앙 훈련과 기도에 매진하게 되는데 그 훈련과 기도의 방향

성은 성육신적으로 일상의 삶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고 교회 내부로 맞춰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교회 내부적인 훈련은 다시 교회 내부적인 봉사, 즉 헌금의 횟수,

금액, 출석, 직분, 봉사 등 계량화가 가능하고, 자기의 삶에서 늘 가능한 범위 안에서

가능한 것을 하도록 고취시킨다. 이는 마치 레고

블럭을

조립 하듯이 신앙생활을 만들

어 내는 것이다. 신앙의 여정은 사라지고, 조립된 신앙의 겉모습만 남게 된다. 다양하

고 복잡한 삶의 문제에 대해 교회가 답이나 방향성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뭉뚱그

려진 설교나 가르침으로만 일방 소통이 일어난다. 교회의 필요를 위해, 목사의 필요를

위해 선동하고 자극하는 설교에 성도들은 자극받고 교회 조직과 담임목사를 위한 충성

을 바친다. 그러나 바른 목사라면 성도들이 직면한 일상의 삶에 좀 더 깊이 살펴보고

성경이 일상에 대해 어떤 대답을 주는지 숙고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목회자는 일상

에서의 삶을 다루는 것이 설교와 사역의 연장이며 동시에 시작점이라는 것을 자각해야

한다.

바. 성공지향과 소외의 그림자

부흥회나 간증을 통해 회자되는 이야기는 성공에 목표가 맞춰진 경우가 많았다. 그

리고 소명을 가장한 야망을 비전이라고 가르친 경우도 많았다. 이것은 인생의 여정 가

운데 주님과 동행하는 신앙보다는 성공주의를 기독교식으로 이식한 가르침으로 사회적

으로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을 성공이 곧 신앙이 추구해야 할 목표로 오해하게 만들고,

사회적으로 성공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이 패배자 같은 인식을 받게 하는 부작용을 나

타낸다. 맹목적인 고지론 추구, 성공적으로 보일 수 있는 직업의 선택으로 이어져 하

나님께서 부여하신 소명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사회 속에서 성

공을 위해 세속적인 수단을 동원하고 타인을 배려하지 않고서도 신앙인임을 자랑하는

왜곡된 신앙관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런 사람들이 많은 교회는 영향력 있는 교회로

스스로 자랑하고 더욱 성공지향을 부추기게 된다.

사. 생활 문화의 기독교의 비판적 수용과 대안 제시 부족

현 세대 뿐만 아니라 청년, 청소년, 어린이 세대가 살고 있는 환경과 문화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