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27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27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14

과도한

경계가

이들에 대한

이해 부족, 비판적 수용 미흡, 대안 제시 부족으로 이어지

고 있다.

반대로

무분별하게 수용하여 기독교적 용어와 프로그램으로 변형 적용 시키

는 것은 본질의 훼손으로 이어질 위험

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에 대한 연구와 대안

제시가 소홀해 진다면 미래 세대 뿐 만 아니라 현재 세대에서도 교회는 고리타분한

실제 삶과는 동떨어진 원론만 이야기 하는 곳이 될 것이다.

교회는

미래 세대가 현재

누리는 문화의 외형을 본 따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그런 문화를 왜 즐겨하는지 이해

하고 그 원인에 대한 고찰과 대안을 만들어 내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이해되지 않음으로 인해 미래 세대는 교회가 그들을 환영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기성 세대의 문화로 인식하여 교회를 외면하는 것이 심화될 것이다.

아. 성직자 중심의 직제와 성직에 대한 오류

크리스텐덤 교회에서는 성직은 오직 성직자에게만 수여된 특별한 권리이고 의무라

고 강조한다. 4세기경 키프리안이 교회 내에서 성직자와 평신도를 구분하면서부터 이

런 경향이 심해졌다. 그러나 평신도를 뜻하는 라이코스(

Laicus

), 구약성경의 라오스

(

Laos

)는 하나님의 백성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15)

직제에 따른 구분을 말하는 것이

아닌 것이다.

신약에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성도들이 부여받은 새로운 직분과 이루어

야 하는 삶에 대해 말하고 있다.

16)

교회의 이원론적 신앙의 폐해는 성직에 대한 오해

를 만들어 목회자만이 성직자이고, 세상에서 성직을 감당할 성도의 의무를 소홀하게

만들고 있다. 그런 직제 중심의 성직관은 목회자에게 대한, 특히 담임목사에 대한 과

도한 권위의 위임을 만들고 담임자의 독재와 전횡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를 양산한

15) 옥한흠,

이것이 목회의 본질이다

,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4), 24.

16) 벧전 2:9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

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고후 5:17-19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

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서 났으며 그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주셨으니 곧 하나님께

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사 세상을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며 그들의 죄를 그들에게 돌리지 아

니하시고 화목하게 하는 말씀을 우리에게 부탁하셨느니라

고린도전서 12장 전체에 걸쳐 성령과 은사, 직분과 사역을, 고린도전서3장에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새 언약의 일꾼, 영의 직분에 대해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