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23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23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10

하지 못하고 만들어진 교회 내에서의 문제는 교회에서 새로운 역학을 만들어 낸다. 사

회적 요인이 외부적으로 새로운 신앙 형태의 장을 만들어 주었다면, 교회 내부의 문제

는 교회 밖으로 사람들을 내 보내는 힘으로 작용하고, 외부로 향한 압력으로 작용하여

전도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것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이 있는데 다음과 같이 정

리해 볼 수 있다.

가. 교회의 성장주의, 집단주의, 시스템화

성장주의는 교회를 건물 중심의 교회론으로 변질시키면서 대형화를 추구하고 있으

며 집단주의화가 되어 교인들의 유기적 집합체로서의 공동체성을 상실 시키고 있다.

11)

대형화된 교회는 소그룹을 만들고 활성화 시키지만, 사실상 소그룹이 아닌 교회 전체

적으로서의 사역과 내부적인 관리는 집단주의적이다. 이렇게 되면 교회는 유기체적 공

동체 보다는 멤버십으로 바뀌게 된다. 교회의 많은 일들에서 교인의 수를 의지하고 자

랑하고 교인은 큰 교회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그 안에서의 소속감에 안주한다. 성

장주의를 지향한다면 공동체성의 상실은 소규모, 중규모 교회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교회가 성장을 쉽게 하려면 행정적인 시스템화가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스템화는 교

회 사역에서의 효율을 높이고 성과의 계량화를 꾀한다. 이는 다시 성장주의를 심화,

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교회가 유기체적인 사람의 집합체라는 것을 간과한다면 이에

따른 수많은 부작용은 교회의 시스템에 부적응한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나쁜 것이라

는 잘못된 인식을 뿌리 깊게 심어줄 수 있다.

나. 교회의 자본 중심화

교회의 운영에 있어 자본이 많이 들어 갈 수밖에 없는 고비용 구조는 교회를 자본

의존을 넘어 자본 종속으로 몰아가고 있다. 재정 자립이 안 된 개척교회나 작은 규모

11) Stanley J. Grenz,

조직신학:하나님의 공동체를 위한 신학

, 신옥수 역, (고양: 크리스챤 다이

제스트, 2003), 673

Stanley J. Grenz는 종교개혁 이후에 나타난 회중 교회론자들이 “중세교회의 모델들과는 달

리, 더 이상 공동체적인 전체가 개인보다 우선순위를 갖지 못하게 했다.”고 소개했다. 그리

고 회중 교회론자들은 “교회는 신자들이 그리스도 아래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함께 살아

갈 목적으로 결합될 때 존재하게 된다.”라는 주장을 전하고 있다.(673) 그는 교회는 상호

헌신과 의존적인 공동체성과 하나님과 개인의 상호적 계약 관계가 균형을 이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