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
교회는 건물이란 생각을 벗어나는 것부터 실천해 보아야 한다. 장소는 접속의 개념
으로 접근하고 접속의 유효함을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으로 장소의 기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가나안 교회가 장소의 공유와 시간대별 분배도 실천해 볼 수
있다.
2. 유지 비용의 최소화
일반적으로 개척을 하거나 교회당 건축에 들어가면 한동안 교회 재정이 임대료 지
급이나, 건축비 상환에 비중이 상당히 높아져 교회의 본질적인 사역이 줄어드는 경향
을 보인다. 그리고 건물이나 공간을 소유한 대부분의 교회는 일정 부분 이상 적지 않
은 유지비용이 항상 지출된다. 유지와 윤영으로서의 교회 구조가 최소화되거나 없어지
면 그것에 들어가는 비용이 최소화 된다. 최소화 된 유지비용은 교회의 본질적인 사역
에 재정이 쓰이도록 길을 열어준다.
3. 상명하달 및 피라미드식 조직의 탈피, 연합과 공동체 역할 분담
구조
시스템의 조직 구조를 해체하고 유기체성을 교회가 회복하게 높이의 명령/결정 구
조가 아닌 수평의 소통과 참여 구조를 만든다. 이 구조는 다른 가나안 교회와 연결,
연합할 수 있게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오픈된 구조를 가지고 네트워킹을 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사역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하므로 자발적인 역할 분담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4. 주 중 삶의 현장 교회와 창조적인 주일 예배
성육신화 된 찾아가는 교회가 되기 위해 삶의 현장에 있는 주 중 교회로 세운다.
삶의 현장의 어려움에 위로하고 하나님의 성도의 삶을 잘 살 수 있도록 격려하는 기
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주일에는 하나님과의 독대하는 예배, 또는 가족과 함께
하는 예배, 가까운 지인들에게 또는 병든 자, 소외된 자들에게 찾아가 함께 드리는 예
배,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는 자연에서의 예배 등 성도 개개인이 주도하는 창의
적인 주일 예배로 격려하고 인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