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3
제 2 절 공동체성이 최대화 된 교회
가나안 성도들이 설문 조사 결과 그들의 57.4%가 한국 교회의 모습이 별로 공동체
적이지 않다고 답을 했다.(매우 그렇다25.7%, 다소 그렇다31.7%) 그들이 바라는 공동
체성이 있는 교회가 되려면, 첫째, 권한의 집중을 권한의 분산으로 바꾸어야 한다. 권
한이 집중된 구조는 효율 중심과 일방적인 소통 구조가 되어 공동체성보다는 기업체성
이 형성되어 버린다. 교회가 기업체성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우선 성직자와 평신도
를 가르는 이원론적 구조에서 ‘하나님의 백성’과 ‘그들 중에 있는 지도자’의 일원론적
구조로 바꾸어야 한다.
40)
위로부터의 하향구조에서 높이의 구조를 탈피해 역할의 구조
로 바뀌는 것이다. 이것은 초대 교회 공동체에서의 구조로 하나님의 선택받은 기업으
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게 성직주의에 사로잡힌 교회를 새롭게 조직한다.
둘째, 각 네트워크 교회의 목회자들부터 공동체성을 가지고 목회자들의 모임을 유
지해야 한다. 이것은 각 네트워크 교회가 가까운 목회자끼리의 네트워크를 막고 All
Channel Network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 것이다.
41)
그리고 셋째로 선교적 교회론의 차원에서 살펴본다면 이 공동체가 공동체 자신만
을 위한 게토(ghetto)화된 공동체가 아니라 이웃에게 “열린 마을”이 되는 공동체로 만
들어 져야 한다. 그래야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인 선교를 사회 안에서 성육신적으로 실
천할 수 있다.
제 3 절 캐릭터화 된 교회
1. 분화된 현대인의 삶과 문화 이해와 접근
40) R. Paul Stevens,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 홍병룡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1), 35-40.
41) Neil Cole,
교회 3.0
, 안정임 역, (고양: 스텝스톤, 2012), 164-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