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어서 답변 문항으로는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Ÿ
과거 직분자들과 비 직분자들의 교회를 떠난 이유를 비교해 보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과거 직분자들의 경우 목회자와 교인들에 대한 불만(67%), 자유로운 신앙
추구(20%)이었지만, 과거 비 직분자들은 목회자와 교인들에 대한 불만(35.6%)에
비해 자유로운 신앙 추구(34.1%)의 비중이 높다. 직분자의 경우 교회 내부적인 일
에 깊게 관여하다보니 목회자와 교인들에 대한 불만이 높아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
다. 이를 볼 때 의사 결정 과정이나 교회 조직 문화가 좀 더 전향적인 개선이 필요
하다.
Ÿ
자유로운 신앙 추구가 첫 번째 이탈 원인이 되었고, 교회와 신앙에 대한 견해 조사
에서 신앙은 순전히 개인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매우 그렇다가 32.3%,
조금 그렇다가 38.8%로 나온 결과, 포스트모던화 된 사회에서의 종교적 사사화(
私
事化
)가 진행되는 것을 이제는 이해하고 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바. 교회 이탈 전 출석 교회의 상태(복수응답)
그림1 교회 이탈 전 출석 교회 상태
Ÿ
‘교회에는 문제가 없었음’으로 답을 한 경우가 42.2%로 가장 많다. 물론 다른 문제
들을 합치면 42.2 : 146.8로 문제들로 나온 것이 압도적이지만 교회에 문제가 없
었음에도 교회를 이탈하였음이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조심스러운 분석이지만 ‘교회를 다녀도 진리와 깊은 사랑을 경험하지 못함이 아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