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62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62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49

요하다. 가나안 교회의 사역을 하기 유리한 목회자는 과거 직업을 가진 경험이 있거

나, 현재 직업을 가진 경우일 것이다.(최소 아르바이트 이상) 이것은 성도들의 삶에 밀

착해야하는 가나안 교회 사역 특성 상 최적화되었기 때문이다. 이 사역에 평신도들의

관심과 참여도 필요하다. 처음 시작할 때 가나안 성도들이 목회자만 있는 교회 구조에

들어오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가. 연구 및 기도 모임

가나안 성도와 바른 교회론을 연구하기 위한 모임으로 관심이 있는 신학생, 목회자,

평신도 분들이 모일 수 있고 나눌 수 있는 장이 된다. SNS와 공개된 세미나로 관심을

환기 시키고, 각 신학교 별로 연구 모임이나 동아리가 만들어진다면 필요한 사역자들

이 효과적으로 세워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모임이 기존에 사역이나 공부를

하고 있는 목회자와 직장을 다니는 평신도의 환경의 특성상 깊고 추진력 있는 모임이

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신학적인 제시를 위해 관련된 신학자들 참여와 연구 및 발

표도 필요하고, 목회자가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고 피드백을 하는 연구-적용-피드백

구조가 세워져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연구와 실천에 있어서 성령의 인도하심이

없이는 하나님의 뜻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중보 기도자들과 기도 모임이 병

행 되어야 할 것이다.

2. 가나안 성도를 위한 네트워크 교회 설립

가. 비용의 최소화

가나안 성도를 위한 네트워크 교회가 순탄하게 출발하려면, 초기 진입 비용이 덜

들도록 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소에 드는 비용을 최소한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있을 것이다.

(1)장소 기부

교회 교육관, 기독교 정신의 회사에서의 소강당, 또는 회의실 등 장소를 후원 받아

사용한다. 그리고 일방적인 후원만 받을 것이 아니라 그 곳을 위해 유용한 것들을 답

례로 제공한다. 그리고 교회가 후원을 할 경우 협력 사역으로 발전하도록 논의할 필요

가 있다.

(2)장소 공유, 시간 분배

한 장소를 임대하고 복수의 가나안 성도를 위한 네트워크 교회가 시간대를 나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