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57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57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44

현대 사회는 분화된 사회이고, 개개인이 직업이나 취미, 특기 등에 따라 다양한 활

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개개인이 처한 환경에 따라 생각과 생활하는 내용이 다르다.

그런 특징들을 잘 살려 작은 규모의 가나안 교회를 각각 만든다면 사람들의 삶에 좀

더 깊이 들어가 이해하고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하고 접근 하

는 것은 ‘캐릭터는 문화’라는 것이다. 문화는 삶을 풀어가는 방식이다. 예수님도 사람

들에게 접근 할 때 그들의 삶의 문화에 맞는 대화와 접근 방식을 사용하셨다. 어부에

게는 어부가 이해할 만한 언어로, 지식이 많은 서기관이나 학자에게는 그들에 맞게 율

법과 말씀으로, 외롭고 힘든 사람에게는 먼저 다가가시면서 함께 하셨다. 이런 접근

방식이 현대에서 더 활용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로는, 2장 1절에서 다룬 것처럼,

고도로 분화된 문화가 포스트모던 문화와 산업화 가운데 형성되었으며, 그 가운데 인

간 존중 보다는 인간 소외의 틈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캐릭터가 형성된 곳에 삶의 특

징이 분명하지만, 그에 따른 그림자도 길게 드리워져 있다. 지식과 기술의 깊이가 커

질수록 지식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정서적, 영적 부분이 드러나며, 삶이 특징화되고 분

화될수록 자신이 알지 못하고 다루지 못하는 부분이 많아짐에서 오는 두려움들이 커지

기 때문이다. 여기서 예수님의 접근 방식을 좀 더 생각해 보면, 예수님은 그들의 직업

과 특성, 기질에 맞는 접근 방식을 쓰시되, 그들이 가진 캐릭터의 한계를 분명히 깨닫

게 하셨고, 그것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깊은 갈증을 채워주시는 접근방법을 사용하셨

다. 그래서 가나안 성도를 위한 네트워크 교회에서는 효과적인 접근과 삶의 이해, 그

리고 복음의 적용을 위해 캐릭터화 한 교회를 지향한다.

2. 접근 방법

현대에서는 직업군에 따라, 취미나 특기 활동에 따라, 환경이나 관심사에 따라 캐

릭터화 된 가나안 교회를 만들고, 개인이 보통 2~3가지의 캐릭터(직업, 특기, 취미)를

가지므로, 그것에 맞는 가나안 교회를 주중에 자유롭게 선택해 다닌다면 이런 가나안

교회들은 네트워크 교회로서 자연스럽게 개 교회주의를 극복하면서 교제의 폭도 넓어

지고, 협력해서 사역할 수 있는 바탕이 형성될 것이다. 성육신된 목회와 교회를 만들

려면 각자의 삶과 특징을 잘 이해하고 그것을 살려 나가기 위해 목회자 자신도 자신

의 특징을 스스로 잘 이해하고 접근의 문화로서 자신의 캐릭터를 갈고 닦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과 활동으로 준비를 잘 해 놓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