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59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59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46

레고 블록으로 다양한 모습의 창조물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연합 사역을 할 수 있다.

제 5 절 목회자의 준비와 실천 방안

포스트모던 시대에 목회자는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 모더니즘의 계몽주의적 사고와

같이 타인을 가르쳐 계몽 시키겠다는 생각은 더 이상 잘 먹히지 않게 되고 있기 때문

이다. 언제나 대화는 설교로 시작해 설교로 끝나는 피곤함을 사람들은 더 이상 경험하

고 싶지 않아 한다. 그리고 크리스텐덤 교회 환경에 적응된 목회 방향 또한 성도들을

피곤하게 한다. 주입하고 훈련하고, 여러 이벤트에 성도들은 실제적인 삶의 위로나 변

화를 점점 느끼지 못함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한 영혼을 귀히 여기는 목양이

행정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느라 바빠져 사실상 불가능함에 목회자를 고갈되게 하고, 이

시스템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 때문에 무력감을 느끼게 하거나 무감각하게 만들고 있

다. 이제는 가르치려고 하고 강요 되는 신앙이 아닌 다른 어떤 모습을 가져야 할 텐

데, 그것은 성육신의 삶과 성육신의 사역을 하신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본을 받아야 할

것이다.

1. 성육신적 사고의 훈련과 실천적 접근

사실 가나안 성도를 위한 교회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사역은 아니다. 가나안 성도를

위한 교회는 주 중 교회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가나안 성도들의 삶 한가운데

같이 들어가 공감하고 나누기 위해서이다. 크리스텐덤 교회에서는 성도들의 삶에 피상

적인 제안을 하고 실제 삶과 동떨어진 훈련과 목양을 할 때가 많다. 이런 부작용을 피

하기 위해서, 그리고 성육신적인 찾아가는 교회와 목회를 하기 위해서는 성도들이 처

한 삶에 함께 할 생각으로 시작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에 사회생활의 경험이 없는

것 보다는 사회생활 경험이 있는 목회자가 상당히 유리할 것이다. 직장인의 애환, 자

영업자의 애환, 비정규직 노동자의 애환, 특정 직업군을 가진 사람들의 애환, 전문직

사람들의 애환 등 삶의 다양한 형편과 문화를 이해하고 함께 하기에는 그 부분을 경

험한 목회자가 적합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그렇지 못한 목회자라면 단기적으로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