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7
아르바이트를 한다면 이해의 폭이 넓어질 것이고 사회 곳곳에 있는 가나안 성도들을
만나는 접촉점이 만들어 질 것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서민들이 살기 힘들어지는 현상 분석적인 통계와 기사들을 접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런 통계와 기사는 실제 서민들의 삶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2. 자기 부인의 영성 훈련
가나안 성도들을 만나고 교회를 설립할 때 예상되는 문제는 잘못된 교회와 목회자
로 인한 상처가 깊어 피해의식으로 사로잡힌 성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들을
목양하는 것은 설득이나 이해로 되지 않는다. 목회자 자신이 자기 부인의 영성을 훈련
하고 실천하지 않는다면, 그들의 상처가 실제적으로 치유되기 힘들 것이다. 예수님께
서 보여주신 자기 부인의 영성이 가나안 교회 안에 흘러 갈 때 교회와 목회자에 대한
상처와 의문이 치유되고 해결 될 것이고, 가나안 교회가 머리만 큰 자칭 개혁하는 교
회라는 쓸데없는 공명심에 사로잡히지 않고, 본질을 추구하는 교회로 꾸준히 갈 수 있
게 한다. 자기 부인의 훈련의 장은 성육신적인 훈련을 하는 성도들의 삶 한가운데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가나안 교회의 목회자는 이런 치열한 삶 속에 들어가는 것을 두
려워해서는 안 될 것이다.
3. 자신 알기와 교회 모델 연구
어떤 교회를 설립할 것인가에 대한 접점으로서 성육신적인 실천적 접근을 연장해
서 숙고해야 한다. 가나안 교회는 선교적 접촉점이 목회자의 소명, 과거 직업, 취미와
특기 등과 연관되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자신과 설립할 교회에 대해 탐구를 해야 한
다. 특히 신앙의 여정으로서 자신의 삶에 대한 통찰이 없이는 각각의 가나안 성도들의
삶과 함께하고 다루는 선교적 교회 구조를 가진 공동체로서의 가나안 교회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제 6 절 가나안 네트워크 교회의 경영과 대안적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