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15 / 82 Next Page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15 / 82 Next Page
Page Background

2

그 이후에 나를 그리스도인 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나를 그리스도인으로

붙잡아주는 핵심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내가 교회 바깥에서도 여전히 그리스

도인일 수 있기 위해 나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3)

이 말이 주는 도전처럼 아마 가나안 성도를 연구하는 것은 제도권이 주는 외형적인

것을 넘어 신앙의 본질을 명확하게 하는 논의로 발전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단

순히 새로운 신앙 행태가 발생하고 그것을 연구하는 것으로 그친다면 가나안 성도를

통해 하나님께서 주시는 본질적인 질문과 목회적인 책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넘어갈 수

있다. 무엇이 본질적인 신앙을 어렵게 하고 있는지, 교회는 본질을 추구하고 비 본질

을 제거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 없이는 가나안 성도 현상과 실태

는 조용히, 그리고 계속 지속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나안 성도에 관련된 정의,

실태, 원인과 전망을 논의하며 목회적 책임과 실천을 위해 교회론을 중심으로 가나안

성도들을 위한 대안적 교회 공동체의 실천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제 1 절 가나안 성도의 정의와 실태

1. 가나안 성도의 정의

교회를 떠난 분들에 대해 소수의 신학생, 목회자들 사이에서 기독교 정체성을 잃지

않고 개인적인 신앙생활을 하신 분들을 소위 ‘가나안 성도’라고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이 분들이 왜, 어떻게 생겨나고, 실제의 신앙생활이나 그 숫자가 대략 어느 정도 되는

지 연구되어진 바가 없었다. 최근 2013년 4월 25일 명동 청어람에서 목회사회학 연구

소(조성돈, 정재영 박사) 주최로 가나안 성도의 실태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 되었

다.

4)

연구 자료에서 가나안 성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3) 양희송, “진격의 가나안 성도”, 2013

장신대 가을 사경회-아름다운 소통 공감소

(서울 : 장

로회신학대학교, 2013. 9. 5.)

http://youtu.be/-WDiwtEPvtY

4) 목회사회학연구소,

목회사회학 연구소 공개 세미나 갈 길 잃은 현대인의 영성 – 소속 없는

신앙의 모습

(서울 : 청어람, 2013.4.25.).

연구 자료는 목회사회학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psik.co.kr

)의 연구자료실에서 pdf파일

로 내려받을 수 있다.